남양아이

고객혜택 내정보

출산준비

출산준비출산 후 생리 궁금증

출산 후 생리 궁금증
‘출산 후에 생리는 언제부터 할까?’, ‘수유 기간에는 임신이 안 된다는데 사실일까?’ 출산 후 생리 궁금증에 대한 명쾌한 답변.



출산 후 첫 생리는 대부분 무배란성 월경

무배란성 월경이란 배란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생리가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배란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여성호르몬의 자극에 의해 두터워진 자궁내막이 저절로 탈락해서 생기는 출혈을 말한다. 출산 후 첫 생리는 무배란성 월경일 가능성이 높다. 황체호르몬의 작용 없이 일어나는 출혈로 산후 첫 생리의 ⅔정도는 무배란성 월경이며 분만일로부터 첫 생리일이 멀어질수록 배란이 됐을 가능성이 커진다. 출산 후 첫 생리의 양은 대부분 평소보다 많지만 소량의 자궁출혈로 생리를 시작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양이 적을 수도 있다. 일반적인 생리주기는 21~35일, 생리 기간은 3~7일 정도. 첫 생리 이후 몇 개월 동안은 생리주기나 생리 양이 불규칙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6개월이 지났는데 생리주기가 정상 범위 내에 들지 못하거나 생리혈이 너무 많으면 자궁이나 난소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하다.



그래도 남는 궁금증 QnA

Q 수유 중에는 임신이 되지 않는다는데 사실인가요?
모유수유를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거나 수유량이 준다거나 하는 등의 변화로 인해 프로락틴 호르몬의 농도가 떨어지면 배란이 일어나고 생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 한마디로 모유수유를 한다고 100% 피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배란이 되고 월경이 나오는 배란성 월경이 있으면 난소 기능이 회복되어 임신을 할 수 있다. 수유를 하지 않는 엄마의 경우 빠르면 산후 35~40일만 되어도 배란이 되기도 한다. 배란은 생리보다 먼저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첫 생리를 하지 않았더라도 바로 임신이 되는 경우도 있다.

Q 출산 후에는 생리통이 줄어드나요?
생리혈과 자궁내막이 빠져나가는 자궁경부의 입구는 출산 전인 경우 2~3mm 정도로 바늘구멍만 한 크기다. 이 좁은 구멍을 빠져나가기 위해 자궁내막은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을 분비해 자궁근육의 수축을 일으키는데, 이 과정에서 복통, 요통 등 생리통이 생기는 것. 출산 후에는 자궁경부의 입구가 조금 넓어지기 때문에 생리혈과 자궁내막의 배출이 원활해져 생리통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다.

Q 출산 후 첫 생리가 끝나면 피임 시술이 가능한가요?
자궁 내 피임장치 시술은 분만 후 최소 2개월 이후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로가 빠져나오고 자궁이 회복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간혹 분만 2주 후 배란이 시작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첫 생리가 시작되기 전에도 콘돔 등 피임을 하는 편이 안전하다.

출처베스트 베이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