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아이

고객혜택 내정보

육아방법

육아방법서로의 기질을 알수록 이해의 폭이 넓어진다

서로의 기질을 알수록 이해의 폭이 넓어진다
서로의 기질을 알수록 이해의 폭이 넓어진다
다른 사람과의 갈등이나 오해는 한 사람의 일방적인 잘못보다 ‘차이’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엄마와 아이도 마찬가지. 예를 들어 아이의 예민한 기질을 무시하고 ‘왜 이렇게 겁이 많아?’라고만 생각하면 아이는 정말 자신을 못났다고 여길 수 있다. 부모 기준에서 자신과 다른 아이의 특성을 문제 행동으로 치부할 위험이 있다. 반대의 경우도 있다. 연구 결과를 보면 밤에 쉽게 잠드는 순한 아이를 키우는 엄마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양육에 대한 자신감이 높았다. 즉 엄마가 정말 양육을 잘해서일 수도 있지만, 아이의 순한 기질이 엄마의 자신감을 높이는 요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아이와 애착을 형성하기 어렵다고 토로하는 엄마 중에는 아이가 예민하거나 까다롭고 활동성이 높아 감당하기 어려워하는 경우도 있다. 애착이나 모성애 문제를 따져볼 때 무조건 엄마에게 원인을 찾으려는 게 위험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엄마와 아이가 서로 기질의 차이를 이해하면 괜한 죄책감이나 갈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어떻게 서로 조율해가야 하는지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즉 만 3세 무렵까지는 아이가 거의 타고난 기질대로 반응하므로 엄마가 아이에게 좀 더 맞춰나갈 수밖에 없다. 이후 만 4~5세 무렵이면 주변 사람이나 상황을 살펴야 할 시기이기 때문에 엄마의 요구나 방식에 맞춰나가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

네 가지 요소로 보는 기질 특성
자극추구 호기심 대왕이 지닌 특성. 새로운 것에 강렬하게 끌리며 덥석 손부터 나가는 기질이다. 자극추구 성향이 높으면 혈기 왕성하고 활동적이며 열정적인 것이 장점. 반면 성격이 급하며 충동적인 면이 있고 주의력 문제를 보일 수 있다.

위험회피 돌다리도 두드리는 성향. 새로운 상황이나 낯선 사람을 보면 쉽게 겁을 내고 회피하는 특성이다. 위험회피 성향이 강하면 음식이나 옷, 새로운 놀잇감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신중하다는 것이 강점. 반면 위축되거나 소극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사회적 민감성 사회성과 관련이 깊은 기질.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태도를 민감하게 알아차리는 특성이다. 사회적 민감성이 높으면 마음이 따뜻하고 친구들에게도 인기가 많다. 다만 다른 사람의 인정이나 칭찬에 민감하고 눈치를 보다가 남의 말에 쉽게 휘둘릴 가능성도 있다.

인내력 끈기, 성취와 관련이 많은 기질. 인내력이 많으면 어떤 보상이 없더라도 한번 시작한 일을 끝마치려는 성향을 발휘한다. 인내력이 많으면 힘든 상황에서도 참을성 있고 성취가 좋은 것이 강점. 다만 융통성이 부족하거나 스트레스가 심할 수 있다.

출처앙쥬

연관된 콘텐츠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