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이란?
끊임없이 발생하는 제품 안전사고로 무엇을 사야 할지 망설여진다. 아는 만큼 보이는 법.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에 따른 안전관리의 기준과 제품 안전성 확인법을 소개한다.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이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아이들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제정된 특별법이다. 이전까지 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40개 품목만 안전검사를 받았으나 그 대상이 만 13세 이하 아이들이 사용하는 모든 제품으로 확대된 것이다. 제품 포장에 KC마크와 주의•경고 문구를 표기함으로써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의 안전성을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 중 일부 항목은 1년간의 시행 유예기간을 거쳐 2016년 6월 4일부터 실질적인 시행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2016년 이전에 제조한 제품을 구입할 때는 더욱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
제품 안전관리의 기준
안전관리는 규제 강도에 따라 ‘안전인증, 안전확인, 공급자적합성확인’으로 나뉜다. 구분기준은 구조•재질•사용 방법 등으로 사고 발생 시 생명과 신체에 위험을 가하거나 재산상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여겨지는 위해 수준이다.
• 안전인증 위해성이 가장 크다고 인정되는 제품에 적용하는 관리기준이다. 출고나 통관 전에 안전인증기관으로부터 제품 검사와 공장 심사를 거쳐 안전성을 인증받는다.
• 안전확인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가 공인된 시험•검사 기관의 검사결과를 제출해 안전성을 인증받는다. 안전인증과 달리 공장 심사와 연 1회 이상의 정기검사를 하지 않는다.
• 공급자적합성확인 가장 낮은 위해성을 지닌 제품의 관리기준이다.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가 안전기준 적합 여부를 스스로 확인한 후 제조•판매한다.
제품의 안전성 확인 요령
1 KC마크를 확인한다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에서 규정하는 안전기준을 통과한 제품에는 KC마크를 부여한다. 안전인증 대상 제품에는 금색 또는 검은색, 안전확인과 공급자적합성확인 제품에는 남색 또는 검은색 KC마크를 부여한다. 해외 제품의 경우도 나라별로 인증마크를 사용하고 있으니 제품 구매 시 잊지 말고 확인한다.
2 안전인증 번호 또는 안전확인 신고확인증 번호를 확인한다 안전한 제품으로 인증받은 경우 안전인증 대상 제품의 KC마크 아래에는 안전인증 번호를 표기한다. 한편 안전확인 대상 제품에는 안전확인 신고확인증 번호를 표기한다. 두 가지 번호로 제품의 안전 정보를 찾아 인증 상태를 확인한다.
3 제품 안전 정보를 검색한다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 korea.kr )에서 제품명, 모델명, 브랜드명, 인증번호, 제조•수입 업체명 중 한 가지를 통해 제품 정보를 파악한다. 제공하는 내용으로는 인증 정보, 제품 정보, 제조사 정보, 제품 사진 등이다. 특히 인증기관•번호•날짜•상태•종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손쉽게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다.
4 리콜 여부를 확인한다 ‘리콜 제품 알리미’ 앱을 이용해 사려는 제품이 리콜 대상인지를 알아본다. 국내뿐 아니라 국외 리콜 정보도 안내하고 있어 해외 제품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앱을 통해 제품의 안전 정보를 살펴보고 불법•불량 제품을 발견했다면 신고한다.
TIP 스킨케어 제품의 안전성 확인 앱
‘화해’ 앱에 제품명을 검색하면 성분 정보를 알 수 있다. 각 성분의 EWG 등급과 배합 목적뿐 아니라 주의해야 할 유해 성분,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성분도 안내해 안전한 제품을 선택하는 가이드 역할을 톡톡히 한다.
5 제품별 안전 사항을 살핀다 제품별로 용도, 모양, 크기가 다른 만큼 따져봐야 할 내용도 다양하다.
TIP 제품별 확인 사항
카시트 ISOF IX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지, 아이의 몸무게와 연령에 적합한 제품인지, 5점식 안전벨트를 갖췄는지 등을 따져본다.
유모차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췄는지, 제동장치•충격완화장치•잠금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5점식 안전벨트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물티슈 성분 중 MIT, CMI T 외 1 3종의 유해 성분이 포함되지 않았는지, 세균과 진균이 검출되지 않았는지 살펴본다. 유통기한과 피부 자극 테스트 진행 여부도 점검한다.
스킨케어 제품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합성색소, 합성향료 등 유해 성분을 함유했는지 알아본다. 화장품 성분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EWG 등급을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