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아이

고객혜택 내정보

성장발달정보

성장발달정보걷기 독립 만세! - 걸음마 정복


걸음마 완벽 정복을 위해 엄마가 할 일

걷기 독립 만세! - 걸음마 정복
[아이 스스로 걷도록 상황을 조성한다]
아이로 하여금 억지로 걷게 하기보다는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이나 물건, 공간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든 후 격려해준다. 그러면 아이가 발걸음을 통한 이동으로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이나 물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돼 아이 스스로 더 많이 걷고 움직인다. 또 아이가 스스로 이동할 때 지지할 수 있는 카트나 상자, 유모차 등을 제공하는 것도 좋다.

[칭찬으로 아이를 격려한다]
돌쟁이 엄마가 갖추어야 할 마음가짐은 아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격려해주는 것. 아이가 걸음마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수천 번 엉덩방아를 찧는 시행착오를 겪는다. 그런데 이때 엄마가 안절부절못하면 아이는 스스로 서고 걷는 것에 의구심을 가질 수 있다. 아이가 조심스럽게 걸음을 떼었을 때는 박수를 쳐주고 안아서 칭찬해주는 등 심리적으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

[주변을 정돈해 안전사고에 유의한다]
아이가 걷기 시작하면서 활동 반경이 넓어지면 엄마는 안전에 대한 안테나를 바짝 세워야 한다. 눈 깜짝할 사이 아이는 어디든 가서 만지고 잡아당기다 부딪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 가구 모서리에 머리를 찧는 일도 다반사. 그러므로 집 안 곳곳의 모든 모서리에 보호대를 부착하고, 모서리가 뾰족한 용품이나 가구 등 위험한 물건은 모두 치우는 것이 안전하다.

[맨발로 걷게 한다]
걸음마를 시도할 때 양말을 신기지 않는 것이 포인트. 양말을 신기면 미끄러워 다리에 힘이 없는 아이는 더 잘 넘어진다. 맨발로 바닥의 감촉을 느끼면서 걷는 것이 좋은데, 이는 뇌에 더 큰 자극을 주어 뇌를 활성화하는 데 효과가 있다. 바닥에서 걷는 데 익숙해지면 카펫, 잔디 등 다양한 표면에서 걸어보게 한다.


걸음마를 부르는 장난감
1. 두 손으로 잡고 끌거나 미는 걸음마 놀잇감
놀잇감 두 손으로 잡고 끌거나 밀 수 있어 아이가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되고, 혼자 걷기에 대한 불안감을 줄여준다. 아이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잡고 걸으면서 다리 근육과 균형감각이 발달한다.

2. 간단한 운반차
서서 손잡이를 잡고 움직일 수 있는 아이 완구로 커다란 바퀴가 달린 제품이 좋다. 인형이나 장난감을 다른 곳으로 운반하는 데 쓰는 운반차나 장난감 정리함도 도움이 되며, 바퀴가 없어도 아이가 잡고 밀 수 있는 유아용 의자나 상자도 유용하다.

3. 줄과 바퀴가 달린 장난감
아이가 밀고 당기는 놀이에 익숙해지고, 연속해서 열 발자국 넘게 걸을 수 있다면 끈이 달린 바퀴 장난감을 마련해준다. 아이는 자기 뜻대로 이곳저곳 끌고 다니면서 걷기의 즐거움을 만끽하게 된다. 끌거나 밀 때 소리까지 난다면 금상첨화.

4. 세발자전거
앞바퀴가 일자형이거나 흔들림이 적은 제품을 선택한다. 앉아서 타다가 내려서 자전거 옆이나 뒤의 손잡이를 잡고 밀고 가게 하면 걸음마 연습에 도움이 된다.

보행기는 걸음마에 도움이 될까?
보통 보행기는 아이가 허리를 가누고 앉을 수 있는 시기인 생후 6~8개월에 타기 시작한다. 하루에 보행기를 타는 시간은 모두 합쳐 1시간 이내가 좋으며, 아이 키에 맞추어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그 이상 사용하거나 아이 키에 맞지 않으면 성장 발달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육아 전문가들에 따르면 보행기를 사용하는 아이가 사용하지 않은 아이에 비해 신체 발육이 약간 늦고, 운동 능력과 지능 발달도 뒤떨어진다고 말한다. 아이가 자신의 발놀림을 눈으로 보면서 공간 운동 개념을 파악하고, 주변 사물을 손으로 움켜잡음으로써 지능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보행기는 이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행기는 신체 발달에 좋은 영향을 주지 않으며, 아이를 걷게 하는 데 도움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걸음마가 늦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NG! 이렇게 도와주면 안 돼요

걷기 독립 만세! - 걸음마 정복
NG 1. 아이가 서기 싫어하는데 억지로 세운다 아이가 주저앉으려 하거나 안아달라고 하는데, 억지로 걸음마를 시키면 아이는 스트레스를 받는다. 엄마와의 애착 형성은 물론 신체 발달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이가 스스로 걸음마를 시도한다면 짧은 거리를 걷게 하고, 충분히 휴식을 취한 후 다시 걷게 한다.

걷기 독립 만세! - 걸음마 정복
NG 2. 아이를 과도하게 앞으로 잡아당긴다 앞에서 두 손으로 아이 손을 잡았을 때 아이의 발걸음을 기다리지 못하고 과도하게 잡아당기는 것은 좋지 않다. 아이 스스로 발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엄마의 힘을 빌려 이동함으로써 다리를 올바로 교차하는 방법을 습득하지 못한다.

걷기 독립 만세! - 걸음마 정복
NG 3. 한쪽 손을 과도하게 높이 잡아 걷게 한다 엄마와 잡은 아이 손이 과도하게 올라가면 한쪽으로 치우쳐 균형 있게 움직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엄마에게 끌려 이동함으로써 올바른 보행 습득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출처베이비

연관된 콘텐츠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