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아이

고객혜택 내정보

아기의 말

아기의 말괜찮을까? 문제일까? 각 시기별 고민 풀이

괜찮을까? 문제일까? 각 시기별 고민 풀이
case 1 옹알이할 때
옹알이가 적은 아이

아이는 ‘크’, ‘쿠’, ‘우’ 같은 의미 없는 단음절을 소리 내다가 점차 다양한 소리를 길게 내는 옹알이를 시작한다. 이때 아이가 내는 소리는 엄마와 가족의 관심을 끌어 모은다. 엄마와 아이가 눈을 맞추고 옹알이를 주고받는 동안 자연스럽게 애착이 강해지고 상호작용도 늘어난다. 또 아이는 혀와 입 등 조음기관을 이용해 자연스럽게 말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옹알이를 얼마나 많이 하느냐는 아이의 기질이나 발달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옹알이가 적다고 무조건 언어 발달이 늦는 것도 아니다. 아이가 다른 아이에 비해 옹알이가 적더라도 엄마가 어르면 까르르 웃음을 터트리기도 하고, 기분에 따라 억양을 달리해 소리를 낸다면 큰 문제는 아니다. 다만 옹알이가 소리 내는 경험, 혀와 입을 움직이는 연습인 만큼 옹알이가 지나치게 적으면 간혹 말문이 트인 후 발음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아이가 충분히 소리를 내보고 옹알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엄마가 맞장구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아이와 눈을 맞추고 아이의 소리를 그대로 따라 한 뒤 “우유 먹으니까 기분이 좋았어”처럼 그 의도도 읽어준다.

TIP 옹알이를 촉진하는 말놀이
•다양한 목소리 톤으로 소리 내기 같은 말이라도 다양한 목소리 톤으로 얘기해보자. 톤에 변화를 주면 아이가 관심을 보인다. 풍부한 표현력을 갖는 데도 도움이 된다.
•노래 불러주기 옹알이가 반복될수록 아이는 억양과 패턴을 흉내 낼 수 있다. 노래를 부르면 멜로디와 리듬을 통해 다양한 억양과 발음을 들려줄 수 있다.



case 2 첫 단어를 시작할 때
‘엄마’보다 ‘빠방’부터 말하는 아이

상담하며 아이가 터트린 첫 단어가 무엇인지 알아보면 ‘엄마’인 경우가 가장 많다. 다음으로는 ‘아빠’나 아이를 돌봐준 주 양육자인 ‘할미’, ‘할매’가 뒤를 잇는다. 즉 주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거나 애착을 형성한 대상을 첫말로 터트린다. 그런데 간혹 ‘빠방’, ‘소방차’, ‘시계’ 같은 사물이 첫말인 경우도 있다. 첫말이 사물의 이름이었다는 것 자체가 큰 문제는 아니다. 이런 아이들은 주변 사물에 대한 관심이 남다르거나 개성 있는 타입일 수도 있다.
다만 아이가 사물 못지않게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도움이 필요할 때 엄마 아빠를 부를 수 있도록 친밀감을 키워야 한다. 안아주기, 손과 발에 뽀뽀하기 같은 스킨십 놀이, 까꿍 놀이 등이 도움이 된다.
또 첫말 이후에 계속 관심을 갖고 말하는 것이 특정한 사물들인지, 사람에 대한 관심이 적고 엄마나 아빠를 잘 찾지 않는지는 살펴본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갖고 놀 때 엄마 아빠와 함께 노는 것을 좋아하는지, 아니면 혼자 엎드려 자동차 바퀴가 굴러가는 것에 집중하는지를 본다. 간혹 발달 문제가 있을 경우 사물의 반복된 자극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case 3 단어 연결해 말할 때
말이 늦되는 아이

생후 18개월부터 어휘 폭발 시기라고 불릴 정도로 언어 발달에 가속도가 붙는다. 특히 거의 매일 새로운 말을 배우는 시기라 ‘어머 쟤가 어디서 저런 말을 배웠지?’라고 할 정도로 깜짝 놀랄 일이 많은 때. 특히 생후 24개월 전후로 아이는 두 단어를 연결할 만큼 말이 부쩍 는다. 이때를 기점으로 아이마다 언어 발달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기 때문에 말 늦된 아이의 엄마는 부쩍 불안해진다. 이때 엄마가 지나치게 조바심을 내면서 아이에게 말하기를 강요하면 아이가 더 위축될 수 있다. 개인차를 고려해 조금 기다리되, 먼저 아이가 말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지부터 살핀다. 보통 말을 하는 것보다 이해하는 것이 먼저다. 예를 들어 아이가 “물 마셔”와 “물 마실래?”의 차이, 단어는 비슷해도 지시인지 질문인지 구별하는지 알아본다. 또 그림책을 볼 때 “누가 소리 쳤어?”, “어디에 숨었어?” 등의 말을 이해하고 손으로 짚어보는지에 따라 이해 정도를 알아볼 수 있다. 만일 아이가 말뿐 아니라 이해도 느리고, 생후 30개월 무렵에도 두 단어를 연결해 말하는 걸 어려워한다면 병원이나 발달센터에서 검사를 받아본다.


case 4 문장으로 말할 때
발음이 서툰 아이

말하는 단어가 많아지고, 문장으로 연결해 말하기 시작할 때는 아직 발음이 서툴기 마련이다. 그래서 문장으로 이어지는 아이의 말은 엄마만 알아들을 수 있을 때가 많다. 아이가 말을 마구 쏟아낼 때는 발음까지 일일이 수정해 똑바로 말하게 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 일단 새로운 단어와 문장을 말하는 즐거움을 충분히 느끼게 해준다. 지나치게 똑바로 발음하도록 강조하면 말수가 적어질 수도 있다. 아이가 “뽀노오 주시오”처럼 불분명한 발음으로 말하면 엄마가 알아들었다는 신호로 “아, 뽀로로 주세요라고, 알았어”라며 정확한 발음으로 한 번 더 들려준다.
아이와 함께 혀와 입을 충분히 움직이는 놀이를 하는 것도 좋다. 예를 들어 입 모양을 보여주며 ‘아에이오우’ 노래를 함께 부르는 것도 방법이다. 또 혀를 내밀어 위아래, 좌우로 움직이고 입술 위로 한 바퀴 돌려보는 식으로 놀이해본다.
그러나 엄마도 아이의 말을 알아듣기 어렵거나 주변 사람들이 아이의 말을 알아듣지 못해 아이도 답답해한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집에 다니면서 친구들과 함께 어울릴 시간이 많은데 발음 문제로 아이들과 소통하기 어렵다면 문제가 어느 정도 심각한지 점검해본다.


case 5 대화를 할 때
말을 더듬는 듯한 아이

말을 잘 더듬는 사람을 말더듬이라 한다. 하지만 막 문장으로 말하기 시작한 아이가 더듬거리듯 말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이를 두고 말더듬이라 할 수는 없다. 특히 아이가 대화를 주고받을 때는 입력된 정보를 정리해 입 밖으로 표현하는 과정이 버거울 수밖에 없다. 그러니 만 3세 전후 아이가 단어를 띄엄띄엄 말하는 것을 두고 말을 더듬는다고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아이가 말을 더듬는다고 오해하면 엄마도 모르게 아이가 말할 때 긴장하게 되고 그 긴장이 아이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 시기 아이들은 대부분 말을 할 때 “내가 음 장난감 갖고 음 놀려고 했는데 어 ◯◯이가 뺐었어”라는 식으로 중간중간 ‘어’, ‘음’ 같은 말로 뜸을 들이기도 한다. 여러 상황을 한 번에 전달하기 위해 아이 나름의 정리 시간을 갖는 것이다. 엄마는 중간중간 고개를 끄덕이거나 ‘아하’라는 식으로 호응하면서 기다려준다. 또 여러 질문을 한꺼번에 하지 말고 한 번에 하나씩 물어 아이가 답하기 쉽게 한다. 대부분 36개월 전후 뜸들이다 말하는 모습은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좋아진다.
그러나 아이가 말을 시작할 때 숨이 찬 듯 힘들어하거나 ‘유치원’이라는 말을 하려고 ‘유유유유유’를 반복하고, 말을 시작할 때 손짓이나 발 구르기 등의 특정 행동을 동반한다면 말 더듬 증상이 아닌지 검사를 받아본다. 말 더듬기는 심리적인 압박감이나 불안과 관련이 깊다. 평소 아이가 쉽게 위축되고 실수하는 것을 두려워한다면 “똑바로 천천히 말해봐”, “다시 말해봐”라는 말로 아이를 다그치지 않도록 한다. 대신 아이가 마음껏 소리를 질러볼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주거나 좋아하는 놀이를 하면서 편안하게 말할 기회를 준다.

연관된 콘텐츠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