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아이

고객혜택 내정보

부모교육

부모교육연령별 칭찬법 - ③ 2세~3세 : 자기 인식이 뚜렷해지는 시기

이 시기의 아이들에게는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이 나타난다.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명시적인 자기 개념이 생긴다는 점이다. 신생아기 또는 영아기 때는 내 자신이 어떻게 생긴 사람인지를 알아채지 못한다. 그것을 본격적으로 알아채기 시작하는 시기가 바로 18개월경부터이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자기 모습을 뚜렷하게 인식하고 기억하는 능력이 생긴다. 그래서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면 그것이 자신이라는 것을 정확히 인식하여 신기해하고 좋아한다. 그보다 어린 아기들은 거울에 자기 모습이 비추었을 때 뭔가 눈앞에 보인다는 것을 매우 즐거워하지만 그것이 자기 자신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한다.

루이스와 브룩스(Lewis & Brooks-Gunn)는 거울 루즈 실험을 통해 이와 같은 주장을 증명했다. 이 실험은 아기의 코에 루즈를 묻히고 거울 앞에 세운 뒤 아기의 반응을 관찰하는 실
험이었다. 이때 자기 인식이 분명한 아기들은 코에 묻은 루즈를 지우기 위해 스스로 코를 문지르거나 휴지로 닦아 달라고 부탁을 했다. 반면 아직 자기 인식이 발달하지 않은 아기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코를 닦으려고 하거나 거울 뒤에 있는 사람을 찾으려는 행동을 보였다. 특히 15~17개월 사이의 아기들 중에는 소수만이 거울에 비친 사람이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인식했지만, 18~24개월 사이의 아기들은 바로 자기 자신의 모습이 거울에 비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했다.
이 실험을 통해 자기 모습을 인식하고 기억하는 능력은 18~24개월 사이에 크게 발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자기 인식이 뚜렷해지면서 이전에는 없었던 다양한 속성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자신을 뚫어지게 바라보거나 자신이 여러 사람에게 주목을 받고 있다는 느낌이 들면 아주 난처해하기도 하고 당황하기도 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강하게 노출되는 것에 대해 어떤 아이들은 부끄럽게 웃는 것으로 그치지만 어떤 아이들은 화를 내며 울기도 한다.

자기 인식이 뚜렷해진 아이들은 자신이 한 행동을 뚜렷이 기억할 수 있게 된다. 만약에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했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느끼고, 잘했다는 느낌이 드는 행동에 대해서는 자부심과 자신감을 느낀다. 그래서 이 시기의 아이들은 자기 행동에 대해 다른 사람, 특히 부모의 평가나 피드백에 귀를 기울이며 나에 대한 다른 사람의 반응을 민감하게 살핀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의 반응에 의해 아이들은 자신의 행동을 수정하고 조정한다는 점이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어떤 행동에 대해 박수를 치는지, 못마땅한 표정을 짓는지, 야단을 치는지, 칭찬을 하는지에 따라 자신의 행동이 어떠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좋지 않은 행동들은 스스로 행동을 개선해 나가며 자기만의 이미지를 구축해나가는 것이 이 시기에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 긍정적인 피드백, 즉 칭찬을 많이 받고 성장한 아이들은 칭찬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가치를 획득할 수 있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는 속담이 있는데,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성, 성취동기, 자기통제력, 원만한 대인관계 등도 세 살 적에 형성되면 그 버릇이 여든까지 계속될 수 있다. 그래서 이 시기에 칭찬을 많이 받은 아이들은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건강하게 성장해 나간다.

연령별 칭찬법 - ③ 2세~3세 : 자기 인식이 뚜렷해지는 시기

출처담소 - 내 아이를 망치는 위험한 칭찬